경상북도 공공 심야약국 현황과 운영 방법, 운영 기준, 지정 방식 등 총정리(2025년 최신)
🏥 경상북도 공공 심야약국의 현황, 운영 방법, 운영 기준, 지정 방식 등
📑 목차
경상북도에서는 2025년 2월 24일부터 공공 심야약국을 기존 9곳에서 37곳으로 대폭 확대 운영합니다. 365일 연중무휴 심야시간대(22:00~익일01:00) 운영하는 약국으로, 의료 취약 시간대 시민들의 의약품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1️⃣ 경상북도 공공 심야약국 현황
경상북도는 2025년부터 공공 심야약국을 대폭 확대하여 운영합니다. 기존 국비 지원 9곳에 도비 지원 28곳을 추가하여 총 37곳으로 늘려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국 최대 규모의 확대 운영입니다.
📊 확대 운영 현황
- 기존: 9곳 (국비 지원)
- 추가: 28곳 (도비 지원)
- 총 운영: 37곳
- 운영 시작: 2025년 2월 24일부터
2️⃣ 공공 심야약국 운영 시간 및 방법
경상북도 공공 심야약국은 매일 밤 10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까지 운영됩니다. 공휴일을 포함하여 365일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상주 약사가 전문적인 복약지도와 상담을 제공합니다.
🕙 운영 시간
- 평일: 22:00 ~ 익일 01:00
- 주말: 22:00 ~ 익일 01:00
- 공휴일: 22:00 ~ 익일 01:00
- 연중무휴: 365일 운영
⭐ 공공 심야약국의 장점
- 편의점과 달리 약사 상주로 전문 상담 가능
- 복약지도를 통한 의약품 오남용 예방
- 다양한 일반의약품 구매 가능
- 심야시간대 의료 접근성 크게 향상
3️⃣ 지정 기준 및 선정 방식
경상북도 공공 심야약국 지정은 도 단위에서 관리하며, 지역별 균형 배치와 접근성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2025년부터는 보건복지부가 운영 주체가 되어 체계적으로 관리됩니다.
🎯 선정 기준
- 지역별 접근성 및 형평성
- 약국 운영 능력 및 시설
- 약사 상주 가능 여부
- 지역 주민 수요
- 교통 접근성
💰 지원 방식
- 국비 지원: 9곳 (기존)
- 도비 지원: 28곳 (신규)
- 운영비 및 인건비 지원
- 시설 개선비 일부 지원
- 약사 수당 지원
4️⃣ 이용 방법 및 주의사항
경상북도 공공 심야약국은 별도의 이용료 없이 구매하는 의약품 비용만 지불하면 됩니다. 약사의 전문 상담과 복약지도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이용 가능한 의약품
- 일반의약품 (해열진통제, 감기약 등)
- 의약외품 (파스, 반창고 등)
- 건강기능식품
- 위생용품 및 의료기기
⚠️ 이용 시 주의사항
- 처방전 필요 전문의약품 구매 불가
- 방문 전 운영 여부 전화 확인 권장
- 약사와 충분한 상담 후 구매
- 복용 중인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확인
5️⃣ 최신 핫 뉴스
📰 관련 최신 뉴스
경북, 공공심야약국 8곳에서 37곳으로 확대 운영
경북도가 2025년 2월 24일부터 공공심야약국을 37곳으로 대폭 확대하여 전국 최대 규모로 운영합니다.
경산, 올해 공공심야약국 확대 운영
경산시는 2025년부터 공공심야약국을 기존 3곳에서 5곳으로 확대하여 시민 편의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6️⃣ FAQ
⚖️ 관련 법령
📜 근거 법령
- 약사법 제21조의3 (공공심야약국의 지정·운영 등)
- 약사법 시행규칙 제11조의5 (공공심야약국의 운영시간)
🔍 더 자세한 정보는 거주 지역 보건소나 시·군·구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